신용등급점수표 및 개인의 신용동 평가등급
개인신용평가회사에서 각 개인의 신용도를 평가한 등급을 신용등급이라고 합니다. 신용거래시 연체 유무, 금액, 기간, 다중채무 등을 종합하여 신용등급이 정해집니다. 나이스지키미와 올크레딧 모두 평가 항목은 유사하나 반영율은 대동소이하입니다. 오늘은 신용등급표를 알아보는 포스팅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개인신용등급은 1등급에서부터 10등급까지 분류되어 있습니다. 1~2등급은 우량, 3~6등급은 일반, 7~8등급은 주의군, 9~10등급은 위험군으로 분류됩니다.
주의할 점은 나이스와 KCB는 등급 부여 점수가 다르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두 회사의 신용정보를 같은 날에 조회하면, 똑같은 금융거래를 했는데도 점수가 몇시점 이상 차이나고 등급이 1등급 이상 차이날 수도 있습니다.
위 표를 보면 알겠지만, 나이스 신용등급 1~3등급에게 관대하고, 올크레딧은 4등급 이하에게 관대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통상적으로 1금융권 대출시 6등급까지가 마지노선입니다.
현금거래보다 신용거래가 주류인 현대사회에서 신용등급의 비중은 이루 말할 수 없으며 그 중요성은 백번 천번 말해도 부족합니다. 신용이 가지는 의미는 신뢰도, 즉 이 사람을 믿고 돈을 빌려줘도 되는지에 대한 여부이며 이 신뢰도를 1부터 10까지 분류한 것이 바로 신용등급입니다.
1~2등급의 고신용자는 건전한 신용거래로 신용카드 발급도 수월하며 저금리 은행대출도 받을 수 있습니다. 우량등급인 1등급과 1금융권 문턱에 걸치는 6등급이 같은 돈을 빌린다면 이자 차이가 4배에 달할 정도로 차이가 심합니다.
7~8등급부터는 대출이나 카드발급이 거절될 확률이 매우 높아지며, 최저치인 9~10등급의 경우는 신용거래 자체가 불가한 경우가 많습니다. 대부분의 사회초년생은 데이터 부족으로 5~6등급부터 시작하고,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은 기본적으로 신용등급이 7등급부터 입니다.
신용등급관리는 현대사회에서 필수적으로 필요한 관리 사항입니다. 무분별하게 신요카드, 대출, 현금서비스 등을 이용해 연체가 된다면 신용등급하락을 시킬 수 있는 요인이되니 주의를 할 필요가 있습니다.